저희 엄마가 정말 잘 붓는 체질인데 저도 그걸 닮았는지
조금만 서 있어도 앉아있어도 종아리가 금방 부어요.
그렇게 제가 부종과 함께하는 동안 저의 발목 라인은 무너지고 있었어요.
수많은 다이어트 시도와 실패, 그리고 또 도전, 다시 요요.
찌고 빠지고 찌고 빠지는 정말 쳇바퀴처럼
반복되는 일상이였어요.
수천만 원을 날리며 제가 한가지 깨달은 것은
요요 없는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기 위해선
먼저 내 몸을 정상으로 되돌려 놓는 과정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불규칙한 수면과 식사, 올바르지 않은 자세로 곳곳이 망가져 있는
내 몸을 각각이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컨디션을 정상범위로 조절해 주는 것을 말합니다.
흔히 '잘 먹고 잘 자고 잘 배설하면 건강하다'라고 하죠?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소화 기능이나 대사 체계, 올바른 수면시간, 바른 식습관 등이
하나씩 제자리를 찾아가면 순환이 잘 되는 잘 붓지 않는
다시 말해 잘 살이 찌지 않은 몸이 만들어집니다.
그러면 이제부턴 운동과 식이요법을 적절하게 꾸준히 해주면
우리 몸이 똑똑하게 흡수하고 배출해요.
의욕만 앞서서 몸은 아직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데
무리한 운동, 무리한 식단을 먼저 시작하게 되면
당장은 몸무게 숫자는 줄어들지는 몰라도
다시 폭발적으로 살이 찔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비만한 분들 대부분은 물만 먹어도 살찌는 몸인 상태에서
다이어트를 시작한다고 합니다.
체지방이 빠지려면 부종과 내장지방이 먼저 빠져야 하고
그러기 위해선 뭘 먹어도 안 찌는 체질을 먼저 만들어야 합니다.
다이어트의 최종 목표이기도 하겠지요.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몸을 만들기 전에
무조건 굶고 대뜸 운동부터 한다면
우리 몸은 급격한 변화에 대한 적신호를 느낍니다.
내 몸이 언제 위험해질지 모른다는 생각에 에너지 효율은 낮추고
먹는 모든 음식을 체지방으로 저장하게 바뀝니다.
대사 체계가 망가지고 ,
에너지를 소모하기보단 최대한 저장하는 형태로 바뀌는 것입니다.
갑자기 먹던 식사량을 급격히 줄이고( 탄수화물 고갈 )
고강도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피로가 쌓이게 되는데 바로 젖산입니다.
고강도 운동은 저장된 탄수화물을 더 빨리 고갈시켜 피로를 유발할 수 있고
탄수화물을 사용하는 인체의 능력은
인슐린 민감성과 저항성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인슐린 저항성을 가진 개인은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지방 저장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살이 안 찌는 체질을 만들기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하는지 알아볼까요?
1. 충분한 수면입니다.
깊은 수면을 할 때 우리 몸은 세로토닌을 멜라토닌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하는데요
이 과정에서 많은 지방을 소모하며 대사를 원활하게 합니다.
한마디로 에너지가 필요해서 지방 대사가 활발해진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수면 부족으로 인한 피로감은 교감신경을 올리며 인슐린 저항성을 극도로 높입니다.
이때 바로 어떻게 된다고 위에서 말했었지요?
탄수화물을 에너지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지방 저장이 증가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영양분은 사용하지 못하고 대부분 저장하는 것이지요.
2. 간 기능 개선을 위해 노력하기
살이 찌기 시작하는 건 간 기능이 떨어져 있을 확률이 매우 큽니다.
간은 우리 몸에서 대사를 담당합니다.
깨끗한 배수구는 많은 물이 들어가도 금방 배출해 냅니다.
하지만 배수구가 제 기능을 못 한다면 어떨까요?
물이 조금만 들어와도 흘러넘치겠지요.
살이 찌는 원리도 이와 같습니다.
대사가 원활하게 되도록 간 기능을 정상화해 주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살이 잘 안 찌는 체질을 만들려면 간 기능에 좋은 음식을 먹어야 합니다.
대표적으로 콩과 두부가 있으며, 연어 고등어 시금치 등이 있습니다.
3. 2.5L 이상 수분 섭취
수분이 부족하면 소화기관 활동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대사량은 떨어지고 지방축적률이 높아지는 몸 상태로 변합니다.
물은 지방 연소의 연료입니다.
1L가 체내에 흡수하고 배출되는 과정에선 상당한 열량을 소모합니다.
대량 130kcal 정도 된다고 하네요.
살이 안 찌는 체질을 만들기 위해선 2.5L 이상의 수분 섭취를 권장합니다.
4. 25g 이상 식이섬유 섭취
장이 우리 몸에서 뇌만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아실 거예요.
우리 몸은 식이섬유를 흡수하지 못하고 배출해 냅니다
배출될 때 식이섬유는 장내 유익균에 영양분을 제공합니다.
유익균의 비율이 유해균보다 높아질수록 우리는 지방을 축적하기보단 배출하는 체질이 됩니다.
그리고 이건 살찌는 것과는 다른 이야기이지만
장에 있는 유익균, 유해균과 뇌의 관계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도 많더라고요.
그만큼 장 건강이 중요합니다.
도움이 되실 거예요.
'healt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근' 유익한 영양소를 많이 섭취하는 제일 간단한 방법 (0) | 2024.08.06 |
---|---|
식욕억제제 유혹 부작용 종류 효과 제대로 알기 (0) | 2024.08.06 |
파킨슨병 원인과 증상 파킨슨병에 좋은 음식 (0) | 2024.07.29 |
현미밥 효능, 다이어트 효과 제대로 알기 (0) | 2024.07.28 |
자궁내막증과 난소암의 관련성 알아보기 (0) | 2024.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