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info

1인 가구시대, 고혈압 당뇨 확률도 높아짐 건강과 영양 문제

by tina20s 2024. 8. 20.
반응형

 

4인가구인 저희도 한끼밥상을 차리기가 힘들어

배달 또는 외식,즉석음식에 의존할때가 종종 있습니다.

 

1인 가구의 경우 어떨까요?

혼자 차려 먹는게 쉽지만은 않을텐데요.

 

여기 1인 가구는 영양 불균형으로 인해 비만 등 만성질환의 위험이

다인 가구보다 훨씬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정밀영양협회는 '제1회 정밀영양박람회' 준비 세미나에서

 '1인 가구 증가와 이에 따른 질병과 영양 불균형'을 주제로

2007~2021년 19세 이상 7만7565명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동국대일산병원 가정의학과 오상우 교수와

일산백병원 윤영숙 교수가 주도하였습니다.

분석 결과,

조사 기간에 조부모·부모·자녀 등 3세대 이상이 같이 사는 가구 수는

15.9%에서 4.9%로 줄어든 반면 1인 가구는 4.6%에서 13.9%로 약 3배 증가했고

1인 가구는 전 연령층에서 증가했는데 특히 젊은 연령층에서 상승세가 가팔랐습니다.

19~39세는 3.2%에서 15%로 1인 가구 비율이 껑충 뛰었으며

40~64세는 2.7→ 8.9%, 65세 이상은 15.4→ 22.9%로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1인 가구의 경우

고혈압, 제2형 당뇨병, 고콜레스테롤혈증, 고중성지방혈증 등 만성질환 위험이

비(非) 1인 가구(모든 세대)보다 눈에 띄게 높다는 점인데요

1인 가구가 아침 결식과 외식, 배달 음식, 즉석식품 등을 가까이하며

적합한 영양 관리에 실패했기 때문이란 게 정밀영양협회의 분석입니다.

실제로 아침 결식률은 나이가 젊을수록

그리고 1인 가구일수록 높았는데 특히 19~29세는 68.2%에 육박했지만

다인 가구는 49.8%로 집계됐습니다.

 

그 결과 앞서 나열한 만성질환의 위험이

1인 가구는 다인 가구보다 각각 1.26배, 1.29배, 1.24배, 1.15배 높은 것으로 분석됐고

비만과 고도비만 유병률 역시 가장 높았습니다.

 

또 같은 조사에서 1인 가구는

비만과 질병을 유발하는 지방과 포화지방산이 많은 음식 섭취를

선호하는 반면 건강에 이로운 식이섬유, 오메가3지방산, 철분, 칼슘은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1인 가구의 증가 속도가 너무 가파르고

이는 비만과 만성질환의 급속한 증가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혼자서 식사를 준비하고 소비하면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1인 가구 증가에 따라 개인의 생활 습관 평가에

따른 맞춤형 영양 관리가 필요한 때인 것 같습니다.

 

제가 작업실을 운영할 때 1일 1 배달음식을 먹었었는데요

어느날 이건 아니다 싶어 알아본것이

다이어트도시락,직장인도시락,영양도시락, 등으로 

불리는 제품입니다. 포털사이트에서 검색하시면 많이 보실수 있어요.

가성비 좋게 10개 20개씩 큰 묶음 단위로 판매를 하는데

제가 먹어본 결과 브랜드마다 맛,영양,퀄리티,종류,크기 등 

모두 다르더라구요

처음부터 많이 주문하는 것 보다는 하나씩 시식한다는

생각으로 맛보고 맘에 드는 것으로 주문하면 좋을 것 같아요.

 

 

포장(배달)음식과 도시락 이미지

 

 

위 두 가지 음식을 비교한 부분이 있어서 캡쳐해 봤어요

뭐 간단히 말해 배달음식보다는 도시락이 균형잡힌 음식으로

추천한다 그런 뜻이겠지요?

 

아침은 단백질 쉐이크가 정말 든든하고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었어요.

저지방우유 또는 아몬드 밀크와 함께 드시는 것 추천!

 

 

 

- 어떠한 요구나 대가없이

순수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된 글입니다 -

 

 

반응형